본문 바로가기

Git

(2)
git 브랜치 전략 [git브랜치를 운영하기 위한 전략] 1. gitflow 1) main(master)브랜치 → 실제 제품으로 나갈 수 있는 상태 2) develop브랜치 → 메인브랜치 기반으로 만들어진 브랜치 → 다음 배포에 나갈 내용을 메인에서 머지할 수 없다. 진행중인 개발 내용이 머지될 브랜치 3) feature브랜치 → 각각의 개발자들이 자기 개발을 하기 위해서 만드는 브랜치 → 어떤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브랜치 → 여기서 작업이 끝나면 develop브랜치에 머지 4) release브랜치 → 작업이 완료되고 배포시점이 왔을 때 develop브랜치를 기반으로 생성 → QA나 여러가지 작업을 마무리하고 main브랜치와 머지 5) hotfix브랜치 → release브랜치를 기반으로 생성을 하고 버그 운영하는 중에 긴..
git사용해서 프로젝트 하기 위한 순서 [원본저장소를 만들고 git과 연결 - 팀장] 1. github사이트에 저장소 만들기 2. STS에 프로젝트트를 만들고 github저장소에 올리기 1) github와 연결하기 2) 작업폴더에 있는 파일을 로컬저장소에 저장 (commit) 3) 원격저장소를 STS에 연결하기 4)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로컬저장소에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다운로드 후 merge - fetch - merge 5) 내 로컬저장소의 모든 내용을 push 3. STS에서 main브랜치를 추가 - STS와 github에서 master브랜치를 모두 지우기 [개발을 위해 각자 원본저장소를 가져와서 작업 - 팀원] 1. 자기 github에서 팀장님 github를 검색한 후 해당 프로젝트를 fork 2. fork한 프로젝트를 STS에 프로..